1. 교육심리학의 발달
1) 교육심리학의 의미
교육심리학은 교육의 과정을 심리적으로 연구하여 교육에 필요한 심리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학문입니다.
교육심리학은 교육과정(educational proces)의 심리학적 기초를 밝혀 교육의 효율화와 과학화에 기여하고자 함이 그 임무입니다.
따라서 이는 교육 실천학적 또는 교육 기술학적 기능을 통해 교육 방법 의 개선과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2)교육심리학의 발달과 영역
(1)교육심리학의 발달계보
Thorndike(1874~1949)는 인간성의 탐구에 통계학적 방법을 도입하여 실험적 연구를 시작함으로써 현대의 교육 심리학적 체계를 창시한 그의 저서 교육심리학」(전 3권, 1913~1914)은 발달과 학습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 후 J. B. Watson이나 C. L. Hull 등에 의해 대표되는 행동주의 심리학에 입각한 학습이론이나 K. Elwin을 중심으로 한 형태주의 심리학에 바탕을 둔 학급집단의 연구 등도 오늘날의 교육심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또 A. L. Ge sell의 발달연구, L. M. Term an의 지능검사 연구, B. E. Skinner의 강화이론이나 프로그램 학습법의 개발 등 역시 그 기여도가 큰 것이 사실입니다. w. Wundt(1832~1920)는 심리학에 처음으로 과학적 연구법을 적용하여 심리학을 철학에서 분리시켜 실험심리학의 아버지가 되었지만, 그의 제자 E Meumann(1862~1915)은 Wundt의 실험심리학적인 방법을 교육에 적용하여 「학습의 절약과 기술」 1903) 및 「실험교육학 입문」 (전 3권, 1907~1908)에서 모든 교육은 아동의 자연, 아동의 발달단계에 합치되어야 함을 주장하였으며 특히 발달의 문제와 개인차의 문제를 중요시하였습니다. 이들 저서는 본격적인 교육심리학의 성립을 시사하는 선구적인 문헌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미국에 있어선 Wundt의 문하생인 S. H Al 1844~1924)이 아동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교육심리학의 주요 내용을 구성하여 기능주의 심리학파의 W. James (18421910과 더불어 교육심리학의 발달에 크게 공헌하였습니다. James의 지도를 받았던 E. L. Thom dike(1874~194)는 인간성의 탐구에 통계학적 방법을 도입하여 실험적 연구를 시작함으로써 현대의 교육 심리학적 체계를 창시한 그의 저서 「교육심리학」(전 3권, 1913~1914)은 발달과 학습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 후 J. B. Watson이나 C. L. Hull 등에 의해 대표되는 행동주의 심리학에 입각한 학습이론이나 K. Elwin을 중심으로 한 형태주의 심리학에 바탕을 둔 학급집단의 연구 등도 오늘날의 교육심리학 발전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또 A. L. Ge sell의 발달연구, L. M. Term an의 지능검사 연구, B. E. Skinner의 강화이론이나 프로그램 학습법의 개발 등 역시 그 기여도가 큰 것도 사실입니다. 한편, 유럽 지역에서 w. Stem, K. & Ch. Buhiler 부처, H. Werner, Piaget 등의 정신발달에 관한 많은 연구나, W. Kohler 등의 형태주의 심리학적 구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2)교육심리학의 영역
Thorndike에서 Skinner에 이르기까지 교육심리학의 내용 영역은 대체로 ① 인간의 성장과 발달, < 학습의 심리, ③ 성격과 지능, ④ 개인차의 측정 등 4대 영역이 중심 과제로 손꼽히고 있으며 그 구성은 오늘날 교육심리학의 전체적 경향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선 전통적인 4대 영역 이외에 교육 실천과 관계된 내용, 즉 적응과 생활지도, 장애아의 심리, 학급집단의 심리, 교사의 심리, 교수활동 등도 중요내용으로 강조되고 있습니다.
2.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교육심리학의 영역내용에는 기초적, 이론적인 것과 실천적 응용적인 것이 내포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내용은 거기에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이나 절차가 같을 수가 없다. 예컨대, 단어나 문장의 기억연구에서는 실험심리학적 연구법을 적용할 수 있겠으나 교수 학습 과정의 연구에는 일반적인 심리학적 연구법을 단순히 적용해 볼 수는 없는 것입니다.
교육심리학의 성격과 역할은 기초적 •이론적인 학문이라기보다는 응용의 : 기술적 • 실천적 학문이란 점에 그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교육심리학의 연구법은 교육실천자가 교육 현장에 당면하는 실천 과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연구 법이 되기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지금까지 개척된 과학적 연구법과 더불어 특히 실천적 연구법이란 것이 교육심리학 연구의 방법으로서 강조되고 있습니다.
1) 과학적 연구법
과학적 연구법은 과학 일반에 공통되는 방법론적 원칙을 중시하는 방법으로서 객관성, 검증가능성, 불편성, 수학적 정확성 등을 가능한 높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즉 연구자의 주관이나 독자성을 가능한 배제 하고, 동일 조건으로, 동일 대상에, 같은 절차에 따라 적용하면, 같은 결과가 항상 나타난다는 검증 가능성과, 방법 : 절차의 객관성과 보편타당성이 강조되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관찰법, 조사법, 실험법 등이 구별됩니다.
(1)관찰법
관찰법이란 시각 • 청각 등 관찰자의 감각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피 관찰자나 사물의 특성을 과학적으로 관찰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관찰법의 특색은, 직접성과 현재성에 있다. 지금 일어나고 있는 사태 또는 피 관찰자의 행동이 다른 사람의 개입 없이 관찰자에게 직접 수집되는 과학의 기초적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인위적인 조건을 설정하지 않고(일상적 : 자연적인 상태에서 관찰되 는)자 연적인 관찰법과 어떤 특정의 조건, 즉 특정의 시간대나 장면을 설정해 놓고 관찰하는) 조직적 관찰법으로 나누어진다. 또 관찰자의 참여에 따른 참여관찰법과 비참여관찰법으로도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관찰된 결과는 이것을 기록할 필요가 있는바, 그 방법으로는 일화 기록(anecdocal record)과 같은 행동 묘사법, 또는 행동 목록법, 평정척도 법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요즈음은 관찰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VIR이나 사진기, 녹음기 등이 관찰의 보조도구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2)조사법
조사법이란 문장, 그림, 기호 등의 표현 또는 구두 질문에 의해 회답을 얻어 내어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의 방법입니다. 이 방법에는 면접법, 검사 • 테스트법, 질문지법 등이 포함됩니다. 교육심리학의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실시 절차에서는 개인적 또는 집단으로 실시하는 경우나 대상자를 직접적으로 조사하는 경우도 있지만 부모로부터 간접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조사 매체는 우편, 전화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사법에서 는 조사 시의 구두 또는 문장의 표현, 사용되는 어구, 질문의 형식, 회답의 형식 등에 걸쳐 적절한 배려가 요구되며, 그 여하에 따라 조사 결과에 차이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면접/ 검사/ 질문지법
조사법의 특수한 형식으로서 투사법, 사회성 측정법, 표준화 검사 등이 있으며 때로는 대상자의 작품, 자서전, 일기, 생활사기로 등의 자료를 분석 • 조사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3)실험법
실험법이란 연구 대상에게 일정한 조건을 가하고 이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여 관찰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실험법에는 실험실적 실험과 같이 환경조건, 자극 조건 가능한 통제하고 나타나는 반응(행동)을 관찰 또는 측정을 엄밀히 행하는 방법과 실험실적 장면보다는 일상적 장면에 유사한 상황에서 일부분의 조건만을 통제하여 실시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실험법의 연구설계 중 가장 단순한 절차는 어떤 개인 또는 집단만 어떤 조건을 설정하고, 그 조건으로 생기는 행동을 관찰하는 단일군법 (13) 입니다. 교육 현장에서는 이 절차에 따른 실험적 관찰이 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비교 • 대조되는 대상을 설정한 바가 없기 때문에 확실한 판단으로 가설을 검증할 수가 없습니다. 이 이유로 통제군법이 사용된다. 통제군법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등질 적인 집단을 만들어, 한 집단을 실험군으로 하여 특정의 조건을 가하고 다른 집단은 통제 군으로 하여 그 조건을 가하지 않거나 또는 다른 별도의 조건을 가하여 두 집단의 관찰 결과를 비교 • 대조하여 조건의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일란성 쌍생아를 통해 연구하는 쌍생아 법은 이 방법의 변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1학년의 수학과정 (0) | 2023.03.28 |
---|---|
-5- 행동 조성의 원리 ~ -8- 벌의 원리 (0) | 2023.03.14 |
(3)조작적 행동 ~ (4) 조건형성의 원리 / -4- 일반화의 원리 (0) | 2023.03.14 |
[학습이론] 1.학습과 행동발달~ 2.자극반응설-(2)실험절차 및 결과 (0) | 2023.02.09 |
교육심리학의 영역과 방법 - 실천적 연구법에 관하여 (0) | 2023.02.08 |